본문 바로가기
울산정보통/제례(제사) 정보

지방 쓰는 법

by 울산청년 2023. 10. 5.
추석이나 명절(설), 제사 차례상에 축문과 함께 올리는 제사 지방 쓰는 법에 대해 간단히 작성해 보겠습니다.
본래 한자로 쓰는 것이 전통이지만, 현대에는 한글로도 많이 작성합니다. 

지방이란?

 

지방은 *신주가 없을 때 임시로 만들어 놓는 *위패이다.

*신주: 고인의 위(위치, 자리)를 베푸는 '나무패'를 말한다. *위패 또는 목주라고도 한다.

하지만, 신주와 위패가 같다는 뜻은 아니며, 신주 대신 약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위패(지방)라고 한다.

 

지방을 쓰는 이유

신주는 *사당에 자리하고 있어야 하지만, 현대에는 사당을 따로 마련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지방(위패)을 사용하는 것이다.

*사당: 조상의 신주를 모셔 놓은 집

 

지방 규격

형태: 흰색 한지 또는 깨끗한 창호지나 백지를 사용.

(지방의 윗부분을 접거나 잘라서 둥글게 하고 아래는 편평하게)

지방 쓰는 법
지방

규격: 가로 6cm / 세로 22cm

지방 쓰는 법

지방(종이) 위에는 고인과 *제주의 관계, 고인의 직위와 성함 마지막으로 '신위(神位)'라고 적으면 됩니다.
*제주: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
고인과 제주와의 관계
아버지 고(考) 어머니 비(妣)
조부모 조고(祖考)
조비(祖妣)
증조부모 증조고(曾祖考)
증조비(曾祖妣)
현형(顯兄) 동생 망제(亡弟)
※ 지방 작성 시 앞에 나타날 현(顯)을 붙여 사용한다.
예) 현고(顯考) / 현조비(顯祖妣) / 현증조고(顯曾祖考) 
<이 외 관계 더 보기>

 

 

고인의 직위

남자 조상

  • 벼슬을 한 경우: 벼슬의 이름
  • 벼슬을 안 한 경우: 학생(學生)
현대에서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돌아가신 분이 남성인 경우 모두 학생(學生)으로 쓴다고 합니다.

여자 조상

(본래 남편의 벼슬에 따라 정해졌다.)

  •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유인(孺人)이라 쓴다.

고인의 성함

  • 남자 조상의 경우: 부군(府君)
  • 여자 조상이나 아내의 경우: 본관과 성씨(김해 김 씨 등)
  • 자식이나 동생의 경우: 이름

신위

마지막으로 고인의 영혼이나 신령이 머무는 자리라는 뜻으로 '신위(神位)'라 쓰며 마무리하면 된다.


예시)

부모 지방 쓰는 법

(제사를 지내는 게 한 분일 경우 지방 가운데 작성 / 두 분 일 경우 남자는 왼쪽, 여자는 오른쪽에 작성)

지방 쓰는 법
지방

(순서는 위에서 아래로) 

위에서 말한 것처럼 고인과의 관계고인의 직위고인의 성별(남, 여) ▶신위(神位), 이 순서대로 작성하시면 됩니다.

예) 아버지의 제사일 경우:현고(顯考), 학생(學生), 부군(府君), 신위(神位)

지방 쓰는 법
지방


<관련 글>

 

축문 쓰는 방법 및 읽는 법

축문은 한국의 전통 의식에서 사용하는 글로서, 다양한 이유로 쓰이며, 지금부터 축문 쓰는 방법(작성 법), 축문 읽는 법 등 관련 내용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해 보겠습니다. 본래 축문은 한문으

forseazon.com

 

제사와 차례의 차이 기제, 차례, 묘제

제사의 종류 3가지와 차례와의 차이 그리고 제사의 기원 제사의 기원 제사의 기원은 *샤머니즘과 연관이 있다고 하는데, 고대의 사람들은 천재지변과 같은 상황을 염려하여 *천지신명께 정성을

forseazon.com

지방 쓰는 법지방 쓰는 법지방 쓰는 법지방 쓰는 법지방 쓰는 법
지방 쓰는 법